

[딜사이트경제TV 최자연 기자] 포스코퓨처엠이 연산 4만5000톤(t) 규모의 광양 전구체 공장을 준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양극재 핵심원료인 전구체를 직접 생산함으로써 공급망 경쟁력을 강화했다.
이날 전남 광양시 율촌산업단지에서 열린 전구체 공장 준공식에서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포스코그룹 차원의 니켈 공급망을 구축한 데 이어 이번 전구체 공장 준공을 통해 '원료-반제품-양극재'에 이르는 자급체제를 완성했다"며 "글로벌 공급망 정책 변동 속에서 광양 전구체 공장은 국내 배터리 산업 경쟁력 강화와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공장은 기존 광양 양극재 공장 부지 내 총 2만2400㎡(약 6,800평) 크기로 조성됐으며, 연간 4만5000t 규모의 전구체 생산이 가능하다. 이는 전기차 50만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해당 전구체는 전량 LG에너지솔루션과 제너럴모터스(GM)의 배터리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의 양극재 제조에 사용될 예정이다.
전구체는 원하는 구조의 물질이 되기 전 단계를 통칭하는 용어로, 배터리 업계에서는 양극재가 되기 전 단계의 물질을 의미한다. 전구체는 니켈(Ni), 코발트(Co), 망간(Mn) 등으로 구성되고 리튬(Li)과 결합해 양극재가 된다. 원료 비중과 생산 방식에 따른 전구체의 특성과 불순물 관리가 양극재의 성능을 결정짓는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준공을 통해 대량의 전구체를 직접 생산하고 철저한 양극재 품질 관리도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국내 전구체의 대중 수입 의존도는 90% 이상이다. 중국 전구체를 사용하면 올해부터 미국시장에 판매하는 배터리에는 외국우려기업(FEOC) 규정이 적용되어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다. 최근 미국 하원의 감세법안 추진으로 IRA 세액공제에 대한 정책변동이 큰 상황이지만 금지외국법인 요건 신설 등 중국에 대한 규제는 더욱 강화되는 추세라 전구체 공급망 독립은 필수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포스코퓨처엠은 높은 공급망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 비중국산 니켈을 가공한 원료를 바탕으로 포스코가 고순도 황산니켈로 만들어 포스코퓨처엠 전구체 공장에 공급하는 체계를 갖춘 덕분이다. 이차전지 재활용 회사인 포스코HY클린메탈도 회수한 황산니켈을 포스코퓨처엠에 공급한다.
포스코퓨처엠은 호주 광석을 원료로 하는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아르헨티나 염수를 활용하는 포스코리튬솔루션, 폐배터리에서 원료를 추출하는 포스코HY클린메탈 등으로부터 리튬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 경쟁사 대비 공급망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받고 있다.
향후 포스코퓨처엠은 시장 변화와 고객 요구에 따라 공급망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연구개발과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에도 역량을 집중해 글로벌 탑티어 이차전지소재사로의 도약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TV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