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TV 최민지 기자] KT가 AICT 기업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며 상장 이후 연간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이 회사는 올해 AI전환(AX) 역량 강화를 통해 기업가치를 한 단계 도약시킬 계획이다.
KT는 지난해 연결기준 26조4312억원의 매출과 809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0.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50.9% 감소했다. 다만 영업이익의 경우 4분기에 시행한 인력구조개선 등 일회성 인건비가 반영된 수치다. 일회성 인건비를 제외할 경우 영업이익은 1조8118억원으로 전년 대비 9.8%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무선사업 매출은 6조9599억원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 온라인 무약정 요금제 ‘요고’ 등 다양한 요금제를 출시해 고객 선택의 폭을 넓혔다는 분석이다. 특히 무선서비스 매출은 5G 가입자 수 증가와 로밍 사업 및 알뜰폰(MNVO) 사업의 꾸준한 성장으로 전년 대비 1.7% 상승했다. 5G 가입자 비율은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77.8%를 기록했다.
유선사업 매출은 5조2688억원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 초고속인터넷은 기가인터넷 가입자 증가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대비 1.1% 증가했으며, 유선전화 매출은 가정 내 수요 감소로 인해 매출이 전년 대비 7.3% 줄었다. 미디어 매출은 IPTV 프리미엄 요금제 및 고품질 셋톱박스(STB) 가입자 확대로 1.2% 증가했다.
기업서비스 사업 매출은 3조5606억원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 AICC 및 스마트모빌리티 등 AX 플랫폼 사업이 성과를 냈다는 분석이다.
금융 분야에서는 BC카드가 금융사업 포트폴리오의 리밸런싱을 통한 담보자산 중심의 안정적 성장을 이뤄내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케이뱅크는 고객과 여수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케이뱅크의 2024년 말 고객은 1274만명으로 지난 한 해에만 321만명이 늘었다. 수신 잔액은 28조 6000억원, 여신 잔액은 16조 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49.8%, 17.0%씩 증가했다.
KT에스테이트는 호텔 중심의 임대 매출 성장으로 전년 대비 매출이 1.7% 증가했다. 2024년 11월에는 대전인재개발원 일부 부지에 약 860세대 규모의 공동주택 분양 공고를 완료하며 신규 개발 사업에 착수했다.
KT 클라우드는 주요 사업부문의 성장과 고객기반 확대로 전년 대비 매출이 15.5% 증가했다. 클라우드 사업은 CDN(Content Delivery Network) 트래픽 증가와 공공시장의 리더십 강화를 통해 성장 중이다. 데이터센터(DC)사업은 글로벌 고객 대상 코로케이션 서비스 수주 증가, DBO(Design·Build·Operate) 사업 확장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앞으로 KT 클라우드는 신규 시장 개척 및 기술 내재화를 통해 성장을 지속할 계획이다.
KT 콘텐츠 자회사는 시장 축소로 전년 대비 매출이 감소했으나, 자체 제작 콘텐츠는 긍정적인 성과를 거뒀다. 스튜디오지니에서 제작하고 스카이라이프TV(ENA 채널) 및 지니TV에서 방영한 ‘크래시’, ‘유어아너’, ‘나의해리에게’ 등이 연속으로 흥행했다. 스카이라이프TV의 오리지널 예능 ‘나는SOLO’도 꾸준한 인기로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설명이다.
KT는 주주환원 계획도 밝혔다. 2024년 4분기 배당금을 주당 500원으로 결정했다. 이 회사는 2024년부터 분기배당을 도입해 지난 1~3분기 각각 주당 500원의 배당금을 지급했다. KT는 수익성 개선의 노력에 힘입어 연간 주당 배당금을 2023년 1960원에서 2024년 2000원으로 증액했다. 결산 배당 기준일은 2월 28일이며, 배당금은 3월 정기주주총회의 최종 승인을 거쳐 지급될 예정이다.
KT는 지난해 11월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연결 자기자본이익률(ROE) 목표를 9~10%로 설정하고 2028년까지 누적 1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라 2025년에 약 2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적극적으로 이행할 예정이다.
KT는 올해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AICT 기업으로의 구조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저수익 및 한계 사업을 합리화해 수익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장민 KT 최고재무책임자(CFO, 전무)는 “2024년 KT그룹은 AICT 기업으로의 전환과 본업 경쟁력 강화를 통해 최대 매출을 달성할 수 있었다“며 “2025년에는 AX 역량 강화와 혁신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고,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충실히 이행해 KT의 기업가치를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TV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