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애라 SK하이닉스 의장 "의사결정 최우선 가치는 기술"

[딜사이트경제TV 이호정, 최지웅, 이태웅, 김수연 기자] 한애라 SK하이닉스 이사회 의장은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기술 중심의 의사결정'을 강조했다. 한 의장은 10일 SK하이닉스 뉴스룸에 공개된 인터뷰에서 "SK하이닉스가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고대역폭메모리(HBM)"라며 "다른 경쟁사보다 한발 앞서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 전략이 유효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앞선 기술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은 미래에도 중요하다”며 “이를 유념하며 늘 기술 중심의 의사 결정을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 의장은 지난 3월 SK하이닉스 신임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됐다. 회사 설립 이래 첫 여성 이사회 의장이다.
◆SK하이닉스, 차세대 D램 로드맵 발표

SK하이닉스가 8일부터 12일까지 일본 교토에서 진행되는 IEEE VLSI 심포지엄 2025에서 차세대 D램 기술 로드맵을 공식 발표했다. 10일 행사 3일차 기조연설에 나선 차선용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장(CTO)은 "현재의 테크 플랫폼*을 적용한 미세 공정은 점차 성능과 용량을 개선하기 어려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10나노 이하에서 구조와 소재, 구성 요소의 혁신을 바탕으로 4F² VG 플랫폼과 3D D램 기술을 준비해 기술적 한계를 돌파하겠다"고 밝혔다. 4F²* VG 플랫폼은 D램의 셀 면적을 최소화하고 수직 게이트 구조를 통해 고집적, 고속, 저전력 D램을 구현하는 차세대 메모리 기술이다.
◆삼성전자, AI 가전 '에어컨∙냉장고∙세탁기' 상반기 판매 급증

삼성전자의 'AI 가전 3대장'인 에어컨·냉장고·세탁기 판매량이 급증했다. 1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올해 1~5월 가정용 스탠드와 벽걸이 에어컨 누적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0% 증가했다. 특히 5월에는 작년보다 한 달 앞서 일 평균 1만대 판매를 기록했다. 비스포크 4도어 키친핏 냉장고의 1~5월 누적 판매량도 전년 동기 대비 약 40% 늘었다. 세탁기와 건조기를 하나로 합친 일체형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도 누적 판매량도 1년 사이 10% 이상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올해도 2025년형 AI 가전 신제품을 앞세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KT,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1천만 돌파

KT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누적 가입자 1000만명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1994년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인터넷 서비스 ‘코넷’을 시작으로 약 30년간 국내 초고속 인터넷 발전을 선도해온 결과다. 2024년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전체 2227만 가구 중 2226만 가구가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 가구 인터넷 접속률은 99.97%에 달한다. 특히 70대 이상 고령층에서 최근 5년간 이용률이 1.7배 상승하는 등 전 연령대에서 인터넷 이용이 일상화됐다. KT는 1000만 가입자 달성을 기념해 고객 감사 이벤트와 프로모션을 오는 8월31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LG전자, 뉴욕서 워시타워와 함께 '이색 결혼서약식' 열어

LG전자가 최근 미국 뉴욕에서 특별한 사연을 가진 연인들을 위한 결혼서약식 '러브 투 런더리'를 열었다. 이번 결혼서약식은 LG전자가 지난해부터 전개해온 ‘러브 투 런더리’ 캠페인의 일환이다. 이 캠페인은 워시타워, 워시콤보 등 편리한 기능을 갖춘 LG전자 세탁 가전을 활용하며 사랑하는 가족이나 연인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더 많이 갖자는 메시지를 전한다. LG전자는 이번 행사를 위해 미국 뉴욕의 하이라인 파크에 스테인드글라스 무늬로 장식된 워시타워로 디자인한 공간을 마련하고, 총 10쌍의 연인들이 이곳에서 결혼서약식을 갖도록 지원했다.
◆LG유플러스, 국제표준화기구 ‘AI 경영 시스템’ 인증 획득

LG유플러스는 투명하고 안전한 AI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I 경영 시스템(ISO/IEC 42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10일 밝혔다. ‘AI 경영 시스템’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 개발한 글로벌 표준으로, 조직이나 기업이 AI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LG유플러스는 인증 획득을 위해 국제표준 규격에 기반한 관리체계를 적용했으며, LG그룹 및 회사의 전략과 목표에 부합하는 AI 리스크 관리 체계를 수립했다. 특히 ▲AI 경영 환경 분석 ▲AI 리스크 평가 및 통제 ▲AI 거버넌스 운영 관리 ▲AI 성과 평가 등 인증 요건을 충족하는 세부 관리 체계를 완성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TV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