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뉴스
Site Map
딜사이트 in 월가
매주 월~금 07:00
출발! 딜사이트
매주 월~금 08:00
머니 마스터
매주 월~금 10:00
애프터 월가
매주 월~금 12:00
기간 설정
딜사이트TV 플러스 오픈
베어로보틱스 업은 LG전자, 로봇 경쟁력 '시프트업'
최민지 기자
2025.01.25 07:00:24
콜옵션 행사 결정, 지분 51% 확보해 경영권 확보...다양한 시너지 창출 전망
베어로보틱스의 AI 자율주행 배송로봇 '서비플러스(Servi Plus)'. / 사진=LG전자.

[딜사이트경제TV 최민지 기자] LG전자가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 베어로보틱스의 경영권을 추가 확보했다. 이를 통해 미래 먹거리인 로봇 사업의 경쟁력 제고에 속도를 낼 것으로 분석된다.


LG전자는 지난 22일 이사회를 열고 베어로보틱스의 30% 지분을 추가 인수하는 콜옵션을 행사하기로 의결했다. 앞서 이 회사는 2024년 3월, 6000만달러(한화 약 860억원)를 투자해 베어로보틱스 지분 21%를 취득하고, 최대 30% 지분을 추가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콜옵션 행사가 완료되면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 지분의 51%를 보유, 경영권을 확보하게 된다.


LG전자는 '클로이 로봇’ 중심의 상업용 로봇 사업 일체를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할 계획이다. 아울러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CEO)를 비롯한 이 회사 주요 경영진은 유임해 기존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상업용 로봇 사업 시너지 창출에 매진한다.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미국 실리콘벨리에서 설립된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이다. 로봇 소프트웨어(SW) 플랫폼 구축, 다수 로봇을 최적화한 경로로 움직이는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관제 솔루션 등 분야에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LG전자가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를 하고 나면 상업용 로봇을 비롯한 해당 사업 전반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로봇 산업의 패러다임이 소프트웨어(SW)로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는 만큼 해당 역량 고도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예를 들어 베어로보틱스 SW를 기반으로 상업용·산업용·가정용 로봇을 아우르는 통합솔루션 플랫폼을 구축할 경우 각기 다른 로봇 제품을 사용하는 다양한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로봇 개발 기간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LG전자가 보유한 제조 역량·공급망 관리(SCM) 노하우는 로봇 사업의 구조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B2B 사업을 통해 구축한 글로벌 판매 네트워크는 제품 판로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업용 로봇을 호텔TV·사이니지·IT기기 등 LG전자의 B2B 솔루션과 결합해 기업고객이 필요로 하는 제품을 한꺼번에 공급하는 턴키 수주 방식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삼수 LG전자 최고과학책임자(CSO) 부사장은 “이번 추가 투자는 ‘명확한 미래’인 로봇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는 LG전자의 확고한 의지에 따른 것”이라며 “상업용·산업용·가정용 등 로봇 사업 전방위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TV 무단전재 배포금지

딜사이트S 성공 투자

ON AIR 마켓 리와인드

딜사이트플러스 B2C 구독
Issue Today more
딜사이트플러스 B2C 구독
인기 VOD
인기 VOD